가용성 그룹(Always On) 구축 [On Azure] (3) Active Directory(AD)
가용성 그룹을 생성하는 데 Active Directory(이하 AD)를 사용하는 이유는
Azure VM의 특성상 가상의 IP가 Server OS 내에서 제어하는 것이 아닌
Azure Portal 에서 제어하기 때문에 Failover Cluster 구성 시 고정이 아닌 유동으로 사용되고
또한 가용성 그룹이 공통의 계정을 인스턴스에서 사용할 때 구축이 가능하기 때문에
해당 계정 제어를 AD에서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AD 서버를 구축한다.
1. VM 생성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HxoJU/btreYns2LkG/2zuIs3Qv7Wq795OPpkCOL1/img.jpg)
리소스 그룹은 이 전에 생성해 두었던 리소스 그룹으로 선택한다.
이미지는 Windows Server로 선택하고 관리자 계정을 입력한 후 디스크 생성으로 넘어간다.
디스크 기본 선택 후 네트워크 설정으로 넘어간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yEt3/btreYaAGitN/QACjdhKPiSJ38to2FKsPN0/img.jpg)
이전에 생성 해 두었던 가상 네트워크로 선택 후 해당 서브넷을 선택한다.
이전에 AD용으로 만들어 두었던 공용 IP 주소를 선택하여 연결한다.
NIC 네트워크 보안 그룹을 고급으로 선택한 후
이 전에 생성해 놓았던 보안 그룹 중 AD 용을 선택한다.
네트워크 보안 그룹에 내부용으로 가서 확인해보면 원격 데스크톱 Port가 허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없다면 RDP를 허용해 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qJMiP/btreK8EJ6gj/ZWcKKItdg6leZyPUS8xUxk/img.jpg)
사설 네트워크 내에서 해당 VM의 IP를 고정으로 사용하도록 옵션을 변경해야 한다.
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VM명과 유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고
IP구성을 선택하여 고정으로 변경해 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kw6fL/btrePXCBsUM/AD0VC87WlzfSYuK4kiyQmK/img.jpg)
ipconfig1을 더블 클릭하면 설정창이 뜨고 해당 설정에서 정적(고정)으로 변경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9HAmv/btreT3B7QpR/JLMhEZX8vJzxgWBnTjxE5K/img.png)
이후 해당 사설 IP주소(위 예제에선 10.0.0.5)를 가상 네트워크의 DNS서버로 등록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PQEg/btreYbTUAMx/U8vWZkj8JUWBcyaEGSiiaK/img.jpg)
2. Active Directory Domain Services 설치
원격 테스트톱을 통해 해당 서버에 접속한다.
서버매니져 대시보드에서 역할 및 기능 추가를 선택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7VNv8/btreLKKMZGI/isTj2SIbmkhykPXC6p73B0/img.jpg)
Active Directory Domain Services 및 DNS 서버 역할을 선택하여 설치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6aHZy/btreMDq6fRG/LnY9tk2bdzkG3609rrpzf1/img.jpg)
서버매니져 대시보드에서 AD DS 선택 후 느낌표 부분에 More를 선택하여 Config창으로 이동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MxHmA/btreWJwCVzy/ooTULzsW5KkimKN7UNHJJ0/img.jpg)
새 포리스트 추가를 선택한 후 루트도메인 명을 FQDN 형태로 적어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gmmaL/btreLFoK5pX/bOOvB8vjEuucyxTECFO0H0/img.jpg)
.
옵션에서 비밀번호 설정 후 완료하고 리부팅을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rANP/btreK670B0Z/PxYqkHEmCjLAB4OjSzNb8K/img.jpg)
3. 도메인 계정 구성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Ix9Sz/btreK7luHnn/YgSXMTAAtxwOlnwffqbqS0/img.jpg)
서버매니져에서 도구 선택 후 Active Directory 관리 센터를 선택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UsGt/btreQ8DII2r/QA6bdOgSB3Kaocnt86jbd0/img.jpg)
Local에서 User로 이동 후 New로 새 계정을 추가하는데 3개의 계정을 추가하려고 한다.
1) Failover Manager 에서 사용할 계정 : install
2) SQL Server 및 Agent에서 사용할 인스턴스 별 각각의 계정 : SQLSvc1, SQLSvc2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yArTq/btreT3vnyjE/CghrkC4zjTQwFsvaXMpiu0/img.jpg)
생성한 계정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메뉴에서 비밀번호 초기화를 선택한 후 비밀번호를 설정해주고 메뉴에서 계정을 사용으로 변경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gJ0V/btreTIEW1Mp/kcKeH3RvmHIs7XOyWMiWgk/img.png)
Local의 속성을 선택해서 창을 띄우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aG2NQ/btreRTfDNB2/4ty2ttJ8KHhOn3GXXyzu3K/img.jpg)
해당 창에서 확장을 선택 후 보안 탭에서 고급을 선택 후 추가를 선택한다.
추가한 계정인 install을 선택해서 모든 속성 읽기 권한 및 컴퓨터 개채 만들기 권한을 추가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IeS2/btreOt2U3dn/cNzQ4M4Kw25HqjPyWyfCj0/img.jpg)